전체 글56 삼투압(osmotic pressure) 이란? 1. 삼투 (osmotic) 정의 서로 다른 농도를 가진 두 용액 사이를 반투과성막으로 막아놓았을 때, 용매분자(물 또는 용매)가 농도가 낮은 쪽에서 높은 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삼투 현상은 에너지를 가하지 않아도 농도의 차이만 있다면 저절로 일어난다. 2. 삼투압 (滲透壓, osmotic pressure) '삼투 현상으로 발생하는 압력'을 삼투압(osmotic pressure)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삼투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은 액체 간 압력 차이이며, 시간이 흐르면 액체들의 농도 차이가 줄어들며 안정화 된다. 설탕물로 예시를 들어보자. ① 수용액에서는 물(용매)이 설탕(용질)을 수화시키기 위해 둘러싸고 있다. ② 설탕물 농도가 높을수록 녹아있는 설탕의 분자 수가 많아, 그것들을 용해.. 2024. 7. 11. 고체상의 종류 (비결정, 결정, 반결정) 1. 고체의 정의 고체란 유동성이 없고 일정한 형태와 부피를 가진 물질을 의미한다. 2. 고체상(Phase)의 종류 고체상은 아래와 같이 3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① 비결정 또는 비정질 (Non crystalline or Amorphous) : 분자가 무질서하게 배열된 상태 (영역)② 결정 (crystalline) : 분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상태 (영역) ③ 반결정 (Semi-crystalline) : 고체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비결정과 결정이 혼재된 상태 (영역) ① 비결정 또는 비정질(Non crystalline or Amorphous) 이란? 원자구조의 주기성을 나타내지 않을 경우 비결정이라고 한다. (또는 주기적 원자배열이 깨진 고체의 상태를 의미한다.) 즉, 비결정(비정질)은 물질의 내부.. 2024. 7. 11. 유리전이온도(Tg, glass temperature) 란? 1. 유리전이온도(Tg, glass temperature) 정의 일반적으로 *고분자 물질은 결정 영역과 비결정 영역이 함께 존재한다. 그 이유는 고분자 물질은 분자량이 매우 높으므로, 전 영역에서 규칙적인 결정 배열이 되는게 어렵기 때문이다. 유리전이온도(Tg)란 이러한 비결정성 또는 부분 결정성인(비결정+결정) 고분자 물질에 대해, 비결정 영역의 분자들이 활성을 가지며 움직이기 시작하는 시점의 온도를 의미한다. 즉, 유리전이온도(Tg)는 고분자 사슬이 움직이기 시작하여 분자의 운동상태가 변화하는 온도로써, 딱딱한 유리질 상태(glassy state)에서 고무 상태(rubbery state)로 *전이가 시작되는 온도로 정의할 수 있다. * 고분자(Polymer) 란?- 저분자들이 거대하게 결합한 사슬구.. 2024. 7. 11. 혐기성(anaerobic) & 호기성(aerobic) 이란? 1. 혐기성 (anaerobic) 혐기성(anaerobic)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생물에 의해 이용 가능한 용존산소 또는 질산성 혹은 아질산성 질소 등과 같은 결합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혐기성이란 공기 중의 산소를 생존에 필요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혐기성 상태에서 성장할 수 있는 미생물을 혐기성 미생물 이라 한다. 혐기성 미생물은 발효과정을 통한 *ATP 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한다. * ATP란 생물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에너지로 바꾸는 전자전달계의 일부 2. 호기성 (aerobic) 호기성(aerobic)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공기나 유리상태의 산소가 있는 상태 또는 필요한 상태를 뜻하며 혐기성의 반대 의미 이다. 또한, 그러한 환경을 호기성 상태라 하며, .. 2024. 7. 11. 열전도(Heat conduction) 란? 열전도(Heat conduction) 1. 열전도(Heat conduction) 정의 물질에 열을 가할 때, 물질의 이동을 수반하거나 복사에 의하지 않고, 그 열이 고온부에서 이것과 접하고 있는 저온부로 전달되는 현상이다. 즉, 열을 전도하기 위해서는 온도차이가 있어야 한다. 그리고 열전도가 잘되는 물질을 양도체, 그렇지 못한 물질은 절연체라고 한다. * 전도(conduction) 란? - 물질의 분자간 상호작용에 의해 열이 확산되는 현상 2. 열전달(Heat Transfer)의 3가지 형태 1) 대류 (Convection) 열을 포함하고 있는 물질이 직접 이동하여 열 전달한다. 뜨거운 물체와 접촉하고 있는 유체 부분의 온도가 올라가면 유체의 부피가 팽창하여 밀도가 낮아진다. 따라서 팽창한 유체는 주.. 2024. 7. 11. 내수(water resistant) / 발수(water repellent) / 방수(waterproof) 란? 1. 내수(*water resistant) 정의는 무엇인가? 내수란 물에 젖는 것을 견디어 내는 성질을 폭넓게 일컫는 말이다. 즉, 내수성이란 물에 견딜 수 있는 성질을 정의하므로, 방수뿐만 아니라 더욱 폭넓은 상태를 의미한다. 내수처리에 대한 예시로 물이 들어가기 어려운 구조로 만들거나 얇은 막으로 코팅한 시계를 들 수 있다. 2. 발수(*water repellent) 정의는 무엇인가? 발수란 얇은 막을 코팅처리하여 물방울을 만들어 물을 튕겨내는 현상(또는 기능)을 일컫는 말이며, 기름의 경우는 발유라고 표현한다. 즉, 발수성코팅(water repellent coating)을 하는 이유는 수분을 물방울 모양으로 맺혀 떨어지게 만드는 것이다. 물은 흡수성이 아닌 어떠한 물체에 닿으면, 0 º ~ 1.. 2024. 7. 11. 이전 1 ··· 6 7 8 9 10 다음